DHCP Attack
• 공격자가 DHCP Client or Server로 위장 후 변조된 DHCP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공격
• 정상 DHCP Server 마비(DoS)시키는 공격
• Client에게 변조된 네트워크 정보 전송으로 데이터의 전달 흐름을 공격자로 유도하는 공격
• 취약점
⸰ UDP를 이용하여 DORA 과정 수행(비신뢰성, 비연결성)
⸰ DHCP 자체 인증 메커니즘 X
‣ 누구나 원할 때 Client, Server 역할 가능 > 진위 확인 불가
- Client: 요청을 전달한 패킷의 XID 및 Port 일치여부만 확인
- Server: MAC주소로 Client 구분
• 종류
⸰ DHCP Starvation: DHCP Server의 Pool을 모두 소모시키는 공격(DoS Attack)
⸰ DHCP Spoofing: DHCP Client에 조작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공격
DHCP Starvation
• Ramdom MAC 주소로 서버의 Pool을 고갈시켜 정상 Client의 IP 할당이 제한되도록 하는 공격
⸰ DHCP Server는 Discover 메시지 진위 확인 불가
⸰ 단순히 Server에 등록되지 않은 MAC주소로 Discover 전달 시 새로운 IP 할당
• Tool
⸰ dhpcx: 위조된 Client MAC주소로 DORA 과정 진행
• 공격 예시
⸰ dhcpx -i <인터페이스명> [option]
-i | DORA과정을 진행할 인터페이스 지정(공격용 인터페이스) |
-D | 공격 대상 지정 |
-v[v[v]] | 자세한 동작과정 확인 |
-t | Discover 전송 시간 조정 |
-u | IP 충돌을 확인하는 ARP 전송 시간 조정 |
• 공격 순서
1. Attacker: dhcpx를 통해 위조된 MAC주소로 Discover 전송
2. Server: 새로운 Client의 요청으로 인식 후 새로운 IP를 Offer로 제안
3. Attacker: dhcpx를 통해 Request 전송
4. Server: Ack 전송
5. 1,2,3,4 과정 반복을 통해 Pool의 모든 IP 고갈
• 보안 대책
⸰ Port Security
‣ L2 Switch에서 지원되는 MAC Filtering 기능(차단 or 감지)
‣ 특정 LAN 포트에서 허용할 MAC 주소 및 개수 지정
‣ 위반 행위 탐지
- Protect: 등록된 MAC주소만 허용, 나머지 모두 차단
- Restrict: 차단 X, 위반 행위 탐지 시 log 기록
- Shutdown: 위반 행위 탐지 시 무조건 포트 차단
DHCP Spoofing
• 공격자가 DHCP Server를 이용하여 조작된 네트워크 정보(G/W=공격자)를 전달하는 공격
⸰ Client는 Server의 진위 여부 확인 불가
• 위조된 G/W로 통신하기 때문에 공격자에게 감염된 모든 Client의 요청과 응답 Sniffing 가능
• 사전에 정상 DHCP Server 기능 마비 필요
• 유형
⸰ 단방향 Sniffing(동일한 Network 대역의 IP 할당)
‣ Client의 G/W 정보를 감염시켜 Client가 외부로 요청하는 모든 데이터 Sniffing
‣ 외부에서 Client로 보내는 응답은 Sniffing 불가
⸰ 양방향 Sniffing(새로운 Network 대역의 IP 할당)
‣ 공격자와 감염된 Client 간 새로운 Network 영역 생성
‣ 공격자 시스템이 실제 G/W처럼 동작
- NIC 추가로 새로운 Network 영역과 통신
- Routing / NAT 필요
• Tools
⸰ 단방향 Sniffing
‣ ettercap -i <인터페이스명> -T -M dhcp:<동일 서브넷 IP Scope>/<Subnetmask>/<DNS Server 주소>
‣ 요청만 Sniffing 가능
⸰ 양방향 Sniffing
‣ ettercap -i <New 인터페이스명> -T -M dhcp:<New 서브넷 IP Scope>/<Subnetmask>/<DNS Server 주소>
‣ 요청/응답 Sniffing 가능
‣ 새로운 인터페이스 추가, Routing, NAT 설정 필요
‣ Routing: Kernel Forwarding(Default route: 정상 G/W)
-i | 인터페이스 지정 |
-T | text 모드 |
-G | GUI 모드 |
-M dhcp | DHCP mode 지정 |
• 보안 대책
⸰ IP주소 정적 할당 운영
⸰ 주기적 모니터링 실시
⸰ DHCP Snooping
‣ L3 이상 Switch에서 지원하는 DHCP Attack 보안 기능
‣ Server가 전달하는 Offer, Ack, Nak 등의 메시지 허용할 Port 지정
‣ 허용되지 않은 Port에서 전달되는 Server 메시지 차단
'모의 해킹 해봐~ > Network 기반 해봐~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S(Denial of Service)(Ping of Death) (0) | 2023.12.13 |
---|---|
DoS(Denial of Service) (0) | 2023.12.13 |
Spoofing(DNS Attack) (0) | 2023.12.10 |
Spoofing(TCP Session Hijacking) (0) | 2023.12.10 |
Spoofing(IP Spoofing, ICMP Spoofing) (2) | 2023.12.0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