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tocol: IP, ARP, ICMP
• 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: 주소를 재해석해주는 프로토콜
: 논리적 주소(IP)로 물리적 주소(MAC)를 알아오는 프로토콜
⸰ 동작: Request > Broadcast, Reply > Unicast
⸰ 종류: ARP, RARP, Gratuitous ARP(IP 충돌감지, Gateway 이중화) 등
⸰ ARP Cache
‣ 시스템에서 사용할 IP에 해당하는 MAC주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
‣ 통신 속도의 향상을 위해 사용하며, 일정시간 이후 사라짐
‣ ARP Cache Table: ARP Cache 정보를 기억하는 저장공간 > Memory(주기억장치)에 저장
‣ 종류
- 동적(Dynamic): ARP에 의해 획득한 정보
- 정적(Static): 시스템에 의해 미리 지정된 정보(관리나 보안을 목적으로 사용)
- 우선순위: 동적(Dynamic) < 정적(Static)
• ARP Header(28bytes)
⸰ Hardware Type(2bytes): ARP가 동작할 Network 환경정보(Ethernet: 1)
⸰ Protocol Type(2bytes): 논리적인 주소의 종류(IPv4: 0x0800)
⸰ Hardware Address Length(1byte): 지정된 물리적 주소의 크기 값(MAC: 6bytes)
⸰ Protocol Address Length(1byte): 지정된 논리적 주소의 크기 값(IP: 4bytes)
⸰ OPcode(2bytes): ARP packet의 종류
⸰ Sender Hardware Address(6bytes): 보내는 시스템의 물리적 주소(송신자 MAC주소)
⸰ Sender Protocol Address(4bytes): 보내는 시스템의 논리적 주소(송신자 IP주소)
⸰ Target Hardware Address(6bytes): 받는 시스템의 물리적 주소(수신자 MAC주소)
‣ 모르는 경우 00:00:00:00:00:00 값이 들어감
⸰ Target Protocol Address(4bytes): 받는 시스템의 논리적 주소(수신자 IP주소)
'Network 해봐~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ayer 3 Network(네트워크 계층)[장비] (0) | 2023.09.27 |
---|---|
Layer 3 Network(네트워크 계층)[Protocol(ICMP)] (0) | 2023.09.26 |
Layer 3 Network(네트워크 계층)[Protocol(IP)] (0) | 2023.09.26 |
Layer 3 Network(네트워크 계층)[역할 및 주소] (0) | 2023.09.25 |
Layer 2 Data Link(데이터 링크 계층) (0) | 2023.09.2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