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outing 정의
: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여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
정적 라우팅(Static Routing)
• 관리자가 경로 정보를 직접 설정하고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방식
• 일반적으로 LAN 내부 Routing(8~10대 이하)을 위해 설정
• Distance metric(=AD, Administrative Distance)
⸰ 학습방식에 따라 할당된 경로의 우선순위(숫자↓ -> 우선순위↑)
⸰ 동일한 네트워크에 대한 경로를 여러 방식으로 학습한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경로 하나만 Routing Table에 등록
• Default Routing
⸰ 목적지가 Routing Tab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Packet을 전달할 경로
⸰ Stub Network를 연결하고 있는 경우에 설정
⸰ Static Routing이지만 우선순위가 가장 낮음
• Stub Network
⸰ Next Hop이 하나만 존재하는 네트워크로, 다른 네트워크로 향하는 방향이 유일한 네트워크
동적 라우팅(Dynamic Routing)
• 사용자에 의해 같은 Protocol이 설정된 장비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최적의 경로를 선택 및 관리하는 방식
• Background Traffic 발생비율 높아 서비스 부하 가능성
• 일반적으로 WAN or LAN 내부 Routing(8~10대 이상)을 위해 설정
• Routing Protocol
⸰ 경로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
• RIP
⸰ 동일한 Protocol을 사용하는 인접장비와 Connected Network 정보 교환
‣ Multicast Group: 224.0.0.9
⸰ 최단거리(Hop Count) 기준으로 경로 선택(Distance Vector)
‣ Metric: Hop Count
⸰ Version 1: Classful Routing(네트워크 주소 + Hop Count 전달)
⸰ Version 2: Classless Routing(네트워크주소 + 서브넷마스크 + Hop Count 전달)
⸰ 비교적 작은 범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(Hop Count Limit: 15)
⸰ 경로정보를 30초 주기로 교환 > 변화가 적용되는 속도(Convergence Time)가 느림
• OSPF
⸰ 동일한 Protocol을 사용하는 인접장비와 Link 상태정보(interface 정보)를 교환
‣ Multicast Group: 224.0.0.5, 224.0.0.6
⸰ 빠른 속도(Link State) 기준으로 경로 선택
‣ 모든 장비의 interface상태를 Topology Database에 기록한 뒤 각 Line에 드는 비용(Cost)을 Metric 값으로 사용
‣ Metric: Cost(BandWidth, 전송속도)
⸰ 정보 교환의 거리 제한이 없어 큰 범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
⸰ 상태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상태 광고(수렴시간이 빠름)
⸰ 부하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 보완을 위해 영역을 분할하여 관리
⸰ 계층적 구조
⸰ Wildcard Mask
‣ 특정 IP주소나 네트워크 범위 추출을 위해 사용하는 필터 값
‣ Subnet Mask로 표현 불가한 부분을 나타나기 위해 사용
- Wildcard Mask의 bit는 연속적이지 않아도 됨
‣ Bit 값=0: 고정 /Bit 값=1: 가변
'Network 해봐~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주소 변환(NAT) (0) | 2023.12.29 |
---|---|
네트워크 접근 제어(ACL) (0) | 2023.12.29 |
Layer 4 Transport(전송 계층)[Protocol(TCP), 장비] (0) | 2023.10.04 |
Layer 4 Transport(전송 계층)[Protocol(UDP)] (0) | 2023.10.04 |
Layer 4 Transport(전송 계층)[역할 및 주소] (0) | 2023.10.0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