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etwork 해봐~

네트워크 접근 제어(ACL)

Alias._.B 2023. 12. 29.

ACL(Access Control List)

   • 역할: Router 내부 정책을 통해 데이터 Filtering(접근제어)

   • 기본 동작 및 규칙

      ⸰ 순차적 동작: 정책 확인 시 항상 Top → Down 동작

      ⸰ 조건의 정보와 Packet의 정보를 비교하여 지정된 Action 수행

            ‣ Permit: 허용, Deny: 거부

      ⸰ 모든 조건에 해당 X: ALL Deny

   • 종류

      ⸰ Numbered형 ACL

            ‣ 목적: 트래픽 분류

            ‣ 식별값: 숫자

      ⸰ Named형 ACL

            ‣ 목적: 방화벽의 보안정책 구성 및 복잡한 정책 구성

            ‣ 식별값: 문자

   • 세부 종류

      ⸰ Standard(기본형)

            ‣ 정책 설정 시 조건: 출발지 IP주소

            ‣ Numbered형 ACL: 1~99, Named형 ACL: standard

      ⸰ Extended(확장형)

            ‣ 정책 설정 시 조건: Protocol, 출발지 IP, 목적지 IP, Port주소(option) 등

            ‣ Numbered형 ACL: 100~199, Named형 ACL: extended

   • 적용 위치

      ⸰ 정책은 Router가 아닌 Interface에 적용(해당 Interface를 통하는 데이터에 한해 적용)

      ⸰ Inbound: 인터페이스를 통해 Router로 들어오는 데이터

      ⸰ Outbound: 인터페이스를 통해 Router에서 나가는 데이터

   • 설정 순서

      ⸰ 정책 계획 → Access-List 정책 생성  ACL 적용 → ACL 설정 확인

      * Access-List: 정책이 저장되어 있는 곳

   • 정책 작성

      ⸰ 주소 입력

            ‣ 범위 설정: 주소 + Wildcard Mask

               - ex) access-list 1 permit 10.10.10.0 0.0.0.255

            ‣ 특정 주소 설정: host + 주소

               - ex) access-list 1 permit host 10.10.10.1

            ‣ 모든 주소 설정: any

               - ex) access-list 1 permit any

      ⸰ Protocol: IP, ICMP, TCP, UDP 등

      ⸰ Option: Port 주소, ICMP Type 등(생략 가능)

   • 주의점

      ⸰ 정확한 정책정확한 순서대로 생성하여 정확한 위치 적용 필요

            1. 조건확인(알맞은 조건인가)

            2. 순서확인(정확한 순서인가)

            3. 위치확인(알맞은 위치인가)

댓글